디즈니 픽사의 신작 애니메이션 '엘리오'가 개봉 첫 주말 북미 티켓 수입 2,100만 달러(약 290억 원)를 기록하며 픽사 역사상 최저의 개봉 성적을 냈다. 총 제작비와 마케팅 비용이 2억 5천만 달러(약 3,453억 원) 이상 투입된 초대형 프로젝트였음에도, 북미 극장가에서 겨우 3위에 머물렀다. 전문가들은 '오리지널' 신작에 대한 관객의 극장 외면과 스트리밍 대세화가 주된 원인으로 보고 있다.

X
픽사 스튜디오 신작 '엘리오' 한 장면 [Disney/Pixar/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픽사의 새 애니메이션 '엘리오(Elio)'가 개봉 첫 주 북미 흥행에서 충격적인 성적을 기록했다. 미국 전역 3,750개 극장에서 상영된 이 작품은 지난 20일부터 23일까지 주말 기간 동안 2,100만 달러(약 290억 원)의 티켓 수입을 거두는 데 그쳤다. 이는 픽사의 전작 '엘리멘탈(2023)'이 기록한 3,000만 달러보다도 약 30% 낮은 수치로, 픽사 개봉작 중 역대 최저 흥행 성적이다.

픽사 측은 이미 개봉 전부터 '엘리오'가 흥행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관측을 일부 공유했으나, 이 정도까지 부진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뉴욕타임스(NYT)는 '엘리오'가 관객 만족도를 나타내는 '시네마스코어'에서 A등급을 받은 점에 주목하며, 품질 문제보다는 관객의 소비 행태 변화가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기존에 인기와 브랜드를 보유한 시리즈가 아닌 '완전한 오리지널 신작'의 경우, 고가의 영화 관람료를 지불하고 극장에서 볼 필요성을 관객들이 느끼지 못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가족 단위 관객층은 티켓 가격 대비 만족도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 스트리밍 서비스 확산으로 인해 영화 개봉 직후 극장 관람이 필수가 아닌 시대가 됐다는 점도 지적된다.

이는 단순한 소비 패턴 변화뿐 아니라 제작비 구조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픽사는 전량 미국 내에서 제작을 진행하는 스튜디오로, 인건비와 제작비가 다른 해외 아웃소싱 기반의 스튜디오보다 훨씬 높다. 반면 경쟁사 중 상당수는 이미 해외에 제작 거점을 두고 있어 제작비를 줄이는 데 유리한 입장이다. 이러한 격차는 오리지널 콘텐츠 실패 시 손실 규모에서 큰 차이를 낳는다.

한편 지난 주말 북미 박스오피스 1위는 '드래곤 길들이기' 시리즈의 신작이 차지했으며, 새롭게 개봉한 좀비 스릴러 '28년 후'는 2위를 기록했다. 반면 픽사의 자존심이라 할 수 있는 '엘리오'는 고전하면서, 향후 픽사의 오리지널 전략 전환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사태는 픽사뿐 아니라 모든 애니메이션 제작사에게 ‘오리지널 콘텐츠 vs 시리즈물’ 전략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요구하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 고품질 콘텐츠라는 찬사를 받아도 극장 흥행으로 이어지지 않는 시대, 픽사의 전통적인 성공 공식은 더 이상 통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픽사로서는 ‘인사이드 아웃’ 같은 검증된 시리즈물에 의존하는 전략과 새로운 창작을 이어가는 모험 사이에서 중대한 결정을 내려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