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핀텍이 'KRWCASH', 'KRWONC'라는 이름의 스테이블코인 상표권을 전격 출원하며 디지털자산 시장 선점 경쟁에 본격 뛰어들었다.
이번 출원은 '암호화폐 금융서비스'에 해당하는 36류로 진행됐으며, 이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전방위 사업 진출을 염두에 둔 선제적 조치로 해석된다
이번 출원은 '암호화폐 금융서비스'에 해당하는 36류로 진행됐으며, 이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전방위 사업 진출을 염두에 둔 선제적 조치로 해석된다. 스마트핀텍 관계자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급변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관련 법안 및 제도 변화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 중”이라고 밝혔다.
회사 측은 이번 상표 출원이 단순한 명칭 확보를 넘어 실제 사업화를 위한 전략적 기반 조성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국회에는 원화(KRW) 연동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하는 '디지털자산기본법'이 발의되어 있으며,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시중은행 및 핀테크 기업들이 제도권 안에서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본격 진출할 수 있게 된다.
출원된 상표인 KRWCASH와 KRWONC는 명칭에 'KRW(원화)'를 포함하고 있어, 원화 가치에 고정된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전제로 한 이름으로 분석된다. 실제 발행 가능성이 높은 명칭으로 업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이란 실물 자산의 가치를 기준으로 발행되는 암호화폐로, 시장 가격의 급변동을 억제하고 결제·송금 등 실생활에서의 활용도를 높이는 디지털 자산이다. 해외에서는 주로 미국 달러(USD)에 연동된 코인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이러한 흐름은 국내 원화 연동형 디지털화폐 개발 필요성을 자극해왔다.
현재까지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상표권 확보에 나선 금융기관은 드물다. 스마트핀텍은 업계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며 선제적으로 상표권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금융권 및 빅테크 기업들 사이에서도 유사한 상표 출원 움직임이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스테이블코인 발행은 단순한 기술 개발만으로는 가능하지 않다.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 등 관련 기관의 규제 해석과 허가가 전제되어야 하며, 법률적 기반이 마련되기 전까지는 사업 추진에 한계가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핀텍의 상표 출원은 향후 제도화가 현실화될 경우 즉각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유리한 입지를 확보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디지털금융 전략을 미리 설계하고 실행에 옮긴 선제적 조치로, 업계의 향후 방향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