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인도의 무역협상이 인도의 관세 인하 소극적 태도와 정상 간 직접 소통 부재로 결렬됐다. 폴리티코는 9일(현지시간)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의 제한적인 양보안에 불만을 품고 협상을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X
트럼프 미 대통령과 모디 인도 총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당초 인도는 미국산 제품에 대한 무역 장벽을 일부 낮추는 안을 제시했으나, 전면 철폐에는 나서지 않았다. 반면 베트남·인도네시아 등은 대미 관세를 0%에 가깝게 낮추겠다고 제안해 인도의 입지가 약화됐다.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는 “대통령은 다른 나라들로부터 0%에 가까운 수치를 받아냈지만, 인도의 제안은 완전히 부족했다”고 전했다.

협상 과정에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의 직접 회담이나 통화를 피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모디 총리는 ‘강한 지도자’ 이미지를 유지하려고 공개적인 질책 가능성이 있는 대화를 꺼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양국 정상 간 ‘브로맨스’로 불리던 친밀한 관계도 협상 타결에 도움이 되지 못했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결렬에 격분하며, 인도산 제품에 대한 25% 추가 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27일부터 미국의 대(對)인도 관세율은 기존 25%에서 50%로 치솟게 된다.

미국-인도 전략 파트너십 포럼의 무케시 아기 회장은 “25년간 쌓아온 관계가 25시간 만에 무너졌다”며 “양국 관계는 모두에게 중요하니 어떻게든 상황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모디 총리를 ‘친구’라고 부르며 직접 비판을 자제한 것은 향후 대화를 위한 여지를 남기기 위한 의도였다고 분석했다.

이번 사태는 미국과의 경제 협력 관계가 고율 관세 정책의 변동성에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