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7일(현지시간)부로 새로운 ‘보복 관세(reciprocal tariff)’ 조치를 전격 시행했다. 이에 따라 수입업자들은 앞으로 다양한 상품에 대해 10%에서 최대 50%에 이르는 관세를 부담하게 된다. 이번 조치는 미국 무역 역사상 가장 전방위적 관세 조치로 평가된다.

제공: 로이터, 인터넷 캡처본


이번 관세 정책의 핵심은 국가별 차등 부과다. 유럽연합(EU), 한국, 일본 등 주요 무역국에는 일괄적으로 15%의 관세가 부과됐으며, 브라질은 최고치인 50%, 인도는 25%에서 3주 내 50%까지 상향될 가능성이 예고됐다. 스위스는 갑작스러운 39% 관세에 직면해 대통령이 급히 워싱턴을 방문했지만 면제를 얻는 데 실패했다.

예일대 예산연구소(Yale Budget Lab)의 분석에 따르면, 이번 조치로 미국의 전체 평균 관세율은 기존보다 급등한 18.3%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관세가 유지되는 국가는 캐나다, 멕시코, 중국 등 세 나라로, 이들은 이미 25% 이상의 기존 관세를 부담하고 있어 이번에는 제외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반도체와 제약제품에 대한 100% 관세를 검토 중”이라며 "미국 내 공장 설립을 약속하는 기업만 예외로 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우회 수출(transshipping)'을 통한 관세 회피에 대해서는 별도로 40%의 추가 관세를 예고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로 인해 수입물가가 급등하며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높은 관세가 일부 상품 가격에 명확히 반영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연준은 금리 동결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제 막 시작일 뿐이며, 앞으로도 수십 개 분야에 대해 관세를 추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우리는 매일같이 사상 최대의 관세 수익을 기록하고 있으며, 미국 경제의 재건이 본격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2018년 1차 임기 당시 “나는 관세맨(Tariff Man)이다”라고 선언한 이후, 그의 2기 집권 기간 중 본격화된 무역 재편 전략의 핵심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앞으로 반도체, 제약, 소비재 등 주요 산업에 추가 관세가 적용될 경우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걸친 충격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