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들이 미국 주요 빅테크 종목 대신 스테이블코인 등 가상자산 관련 종목 매수에 집중하고 있다.
X
[연합뉴스 자료사진]
국제금융센터는 11일 보고서에서 미국 지니어스 법안 통과 이후 스테이블코인 중심의 가상자산 투자가 확대됐다고 밝혔다. ‘서학개미’로 불리는 개인 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순매수는 올해 14월 월평균 38억달러였으나, 5월 12억9천만달러, 6월 3억9천만달러로 급감했다. 7월(129일)에는 4억9천만달러로 소폭 반등했지만 매수세는 약화된 상태다.
빅테크 상위 7개 종목(M7)의 순매수 규모도 감소했다. 1~4월 월평균 16억8천만달러에서 5월 4억4천만달러, 6월 6억7천만달러, 7월 2억6천만달러로 줄었다. 반면 미국 증시에 상장된 MSCI 한국지수 3배 추종 ETF가 6월 상위 순매수 종목에 포함되는 등 국내 증시 연계 상품의 매수가 늘었다.
국제금융센터는 6월 이후 국내 증시 수익률이 미국 등 해외보다 높고 원화 강세가 이어지면서 해외 투자 자금이 일부 회수됐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개인 투자자들의 순매수 상위 50개 종목 중 가상자산 관련 비중은 1월 8.5%에서 6월 36.5%, 7월 31.4%로 확대됐다.
특히 6월에는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 2위 USDC 발행사 서클 인터넷이 순매수 1위를 기록했다. 7월에도 코인베이스, 비트마인 등 가상자산 거래소나 이더리움 보유 기업이 상위 10위 중 절반을 차지했다.
국제금융센터는 미국 관세 정책의 실물경제 영향 우려로, 단기간 내 개인 투자자들의 해외 주식 매수세가 크게 확대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