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401(k) 퇴직연금 계좌에 사적자산(Private Equity) 및 대체투자를 허용하는 새 행정명령에 서명할 예정이다. 월가는 이를 '역대급 기회'로 간주하며 즉각 반응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기존의 주식·채권 중심의 전통적 자산 구성에서 벗어나, 개인이 401(k) 연금 계좌를 통해 사모펀드, 비상장 기업, 벤처캐피탈, 인프라펀드 등 대체자산에 직접 투자할 수 있도록 한다. 공화당이 강조해온 '퇴직 후 부의 증식' 전략이 본격화되는 것이다.


이번 조치는 기존의 주식·채권 중심의 전통적 자산 구성에서 벗어나, 개인이 401(k) 연금 계좌를 통해 사모펀드, 비상장 기업, 벤처캐피탈, 인프라펀드 등 대체자산에 직접 투자할 수 있도록 한다. 공화당이 강조해온 '퇴직 후 부의 증식' 전략이 본격화되는 것이다.

특히 사모펀드 업계는 환영 일색이다. 아폴로(APO), 블랙스톤(Blackstone),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 등 대형 운용사들은 이미 수년 전부터 401(k) 시장 진입을 위해 집요하게 로비를 펼쳐왔다. 이번 조치로 이들 기업의 운용자산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월가 수수료 기반의 금융기관들도 수혜가 예상된다. 사모펀드는 일반적으로 고수익을 추구하지만 동시에 고위험·고수수료 구조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금융사는 운용보수·성과보수를 통해 막대한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노동계와 소비자보호단체는 반발하고 있다. 미국노동총연맹(AFL-CIO)은 “개인 투자자가 감당하기엔 사모펀드의 구조는 지나치게 불투명하며, 장기 환매 제한과 높은 수수료는 퇴직자의 생계를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보호장치 없이 개방할 경우 퇴직 빈곤층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현행 401(k) 규제는 투자자의 자산을 비교적 안전한 상품군 내에서 관리하도록 유도해왔지만, 이번 정책은 투자 선택권을 대폭 넓히는 방향으로 궤도 전환을 시도한 셈이다. 이는 월가의 수익 창출 구조를 근본적으로 뒤흔들 수 있는 중대한 변화로 해석된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행정명령에 대해 “미국 노동자들에게 더 많은 자산 증식 기회를 제공하고, 금융 시장의 자유와 경쟁을 촉진할 것”이라며 “미래를 스스로 설계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향후 이 조치가 실제 투자자의 자산 성장에 기여할지, 아니면 퇴직 이후의 위험만 키우게 될지는 금융시장의 대응과 입법기관의 견제가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