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제품에 대해 100% 수입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선언했다. 단, 미국 내 생산 시설을 설립한 기업에 대해서는 이 관세를 면제하겠다는 방침도 함께 밝혔다. 
이번 조치는 애플이 최근 미국 내 반도체 생산 확대 계획을 발표한 직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이 미국 생산을 결정한 것은 매우 현명한 선택”이라며 “미국에 투자하는 기업만이 특혜를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는 애플이 최근 미국 내 반도체 생산 확대 계획을 발표한 직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플이 미국 생산을 결정한 것은 매우 현명한 선택”이라며 “미국에 투자하는 기업만이 특혜를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발표는 트럼프 행정부의 제조업 부흥 정책의 일환으로, 글로벌 공급망의 탈아시아 전략과도 연결돼 있다. 그는 “미국이 다시는 외국에 목줄을 잡히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하며, 반도체 수입 의존도를 미국의 안보 위협 요소로 규정했다.

 현재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한국과 대만, 중국 등 아시아 국가에 집중돼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관세 정책은 사실상 해당 국가들을 겨냥한 강력한 무역 압박 수단으로 해석된다. 미국 내 자국 기업 보호를 넘어 전략산업의 자국 회귀를 유도하는 조치다. 

관세가 실제로 시행될 경우, 삼성전자, TSMC, SK하이닉스 등 주요 반도체 수출 기업들은 직접적인 피해가 예상된다. 동시에 미국 내 신규 반도체 공장 건립이 촉진될 가능성도 있다. 이는 고용 증가와 기술 주권 확보 측면에서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애국적인 기업은 인센티브를 받을 것이고, 외국에만 의존하는 기업은 불이익을 감수하게 될 것”이라며 “미국 중심의 공급망 구축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이라고 강조했다. 

이 정책은 향후 미국 의회와 무역 파트너국들과의 협의, 세계무역기구(WTO) 규정과의 충돌 등 다양한 논란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 대선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내세운 초강경 보호무역 정책이 국제무역 질서를 뒤흔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