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에서 20대 직원보다 50대 이상 직원 비중이 더 높은 ‘세대역전’ 현상이 처음으로 나타났다. 신규 채용 축소와 고령 인력 퇴직 지연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X
'내 일자리는 어디에' [연합뉴스 자료사진]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제출한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연령별 인력 비교가 가능한 124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2024년 기준 30세 미만 인력 비중은 전년보다 1.2%포인트 하락한 19.8%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같은 기간 50세 이상 인력은 0.6%포인트 늘어난 20.1%를 기록했다.

이는 조사가 시작된 2015년 이후 처음으로 50대 이상이 20대보다 많은 구조다. 동시에 30세 미만 인력 비중이 20% 아래로 떨어진 것도 처음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30세 미만 인원은 2022년 23만5,923명(21.9%)에서 2023년 23만888명(21.0%)으로 줄었고, 2024년에는 22만1,369명(19.8%)까지 감소했다.

반면, 50세 이상은 2022년 20만6,040명(19.1%), 2023년 21만4,098명(19.5%), 2024년 22만4,438명(20.1%)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이차전지 분야가 세대 격차가 가장 크게 벌어졌다. 최근 3년간 30세 미만은 9.7%포인트(7,789명) 줄었고, 50세 이상은 1.2%포인트(496명) 늘어 격차는 10.9%포인트에 달했다.

IT·전기전자 업종도 세대 간 변화가 두드러졌다. 30세 미만은 5.4%포인트(1만5,300명) 줄고, 50세 이상은 3.1%포인트(6,933명) 늘어나며 총 격차는 8.5%포인트를 기록했다.

박주근 리더스인덱스 대표는 “경기 침체로 전반적인 업종에서 신입 채용이 위축되는 가운데, 고령 인력의 퇴직도 지연되고 있다”며 “이로 인해 기업 내 세대 간 구조가 바뀌는 전환점에 도달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입 채용을 줄이는 추세와 퇴직 연기 현상이 이어질 경우, 기업 고령화는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향후 인력 구조 조정이나 세대 간 조직문화 충돌 등도 새로운 이슈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