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한국도 미국과의 무역협상 타결을 원하고 있다"며 주요 국가들이 미국이 부과한 관세를 낮추기 위해 자국 시장을 열고 있다고 밝혔다.

X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이터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유럽연합(EU)은 자국 시장을 개방하길 원한다. 일본은 미국에서 수백만 대의 자동차를 팔면서도 미국산 자동차는 거의 수입하지 않는다"며 각국의 불균형 무역 문제를 비판했다.

이어 그는 "하지만 이들 국가는 모두 매우 빠르게 태도를 바꾸고 있고, 한국도 협상을 타결하고 싶어 한다"며 "알다시피 한국은 상당한 관세를 내고 있다"고 언급했다.

구체적인 협상 진행 상황은 밝히지 않았지만, 발언에서 한국, 일본, EU 등을 향한 무역 압박 기조는 계속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4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마르크 뤼터 사무총장과 회동 예정임을 밝히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지원 방안을 논의한다고 전했다. 그는 "우리는 정교한 무기를 나토에 보낼 것이며, 나토는 그 대가를 100% 지불할 것"이라며 미국이 자금을 부담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우크라이나에 패트리엇(방공체계)을 보낼 것이며, 이는 그들이 절실하게 필요로 하는 것"이라며 "하지만 우리는 돈을 대는 쪽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대한 언급도 이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푸틴 대통령에게 매우 실망했다"며 "그는 매우 아름다운 말을 하고는 밤에 폭격을 감행했다. 우리는 그런 행위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러시아 관련 중대 발표가 제재와 관련됐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확답을 피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가자지구 휴전과 관련해서는 "다음 주 중으로 정리되길 바란다"고 짧게 언급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에 대한 비판도 반복했다. 그는 연준이 파월 의장 재임 중 25억달러를 들여 건물을 보수한 점을 문제삼으며 "파월은 미국에 매우 해롭다"고 직격했다. 또 "우리는 지구상에서 가장 낮은 금리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며 금리 인하를 거듭 촉구했다.

이번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11월 대선을 앞두고 대외 무역 압박과 내부 경제 이슈를 동시에 부각시키는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트럼프의 대외 강경 메시지는 주요 동맹국들과의 관계에 또 다른 변수를 던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