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취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8월 1주차 리얼미터 주간 집계에 따르면 긍정 평가는 전주 대비 6.8%포인트 하락한 56.5%로 나타났다. 부정 평가는 같은 폭으로 상승해 38.2%를 기록했다. 긍·부정 평가 합산 변동 폭은 13%포인트 이상으로 정권 출범 후 최대 수준이다

X
시간 확인하는 이재명 대통령 [연합뉴스 자료사진]

지역별로는 부산·울산·경남(PK)에서 17.4%포인트 하락해 44.8%를 기록했고, 대구·경북(TK)과 70대 이상에서도 두 자릿수 낙폭이 나타났다. 인천·경기도 4.9%포인트 하락해 전반적인 지지 기반이 흔들린 것으로 분석된다.

지지율 급락 배경으로는 주식 양도세 논란, 대미 관세 협상 실패, 광복절 특별사면 논란이 꼽힌다. 특히 사면 명단에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윤미향 전 의원이 포함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여론이 급격히 악화했다. 조 전 장관은 자녀 입시 비리로 징역 2년이 확정돼 수감 중이며, 윤 전 의원은 위안부 피해자 지원금과 국고보조금 횡령·사기로 징역 1년 6개월,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X

대통령실은 8월 12일 예정된 국무회의를 하루 앞당겨 임시 국무회의를 열고 사면안을 처리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는 비공개로 진행될 계획이어서 절차 투명성 논란이 일고 있다. 야권은 “국민 통합이 아닌 진영 챙기기”라고 강하게 반발하고 있으며, 여권 내부에서도 ‘원포인트’ 처리 방식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번 사면이 민주당 내 권력 구도와 차기 대권 구도에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일부는 조국 전 장관을 차기 주자로 띄우려는 범여권 전략으로 해석하는 반면, 당내 압박에 밀린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시각도 있다.

광복절 사면이 강행되면 지지율 하락세가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 여권 관계자는 “대통령 1극 체제의 균열이 시작되는 변곡점”이라며 “사면 이후 민심 변화가 정권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