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별 모바일 앱 사용 행태가 확연히 다른 것으로 조사됐다. 10~30대는 유튜브를, 40대 이상은 카카오톡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X
스마트폰 구글 로고 [EPA 연합뉴스 자료 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10대 이하, 20대, 30대 모두 유튜브가 사용량 1위를 기록했다. 반면 40대·50대·60대 이상은 카카오톡이 1위를 차지했다. 유튜브와 네이버는 대부분 세대에서 2~3위권에 올랐다.
SNS 사용에서도 세대 차가 두드러졌다. 10-30대는 인스타그램이 1위였으나, 40대 이상은 네이버 밴드가 1위를 차지했다. 10-20대에서는 엑스(X·옛 트위터)가 2위였고, 30대는 밴드, 40대 이상은 인스타그램이 뒤를 이었다.
AI 앱의 경우 모든 세대에서 오픈AI의 챗GPT가 1위를 기록했다. 10대 이하에서는 뤼튼, 20대 이상은 SK텔레콤의 에이닷이 2위를 차지했으며, 3위는 10~30대에서 퍼플렉시티, 40대 이상에서 뤼튼이 올랐다.
성별 차이도 뚜렷했다. 남성은 30대까지 유튜브, 40대 이상은 카카오톡 사용이 많았고, 여성은 40대를 제외한 전 연령에서 유튜브가 1위였다. 40대 여성은 네이버를 가장 많이 사용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장년층은 카카오톡·밴드, 젊은 세대는 인스타그램·유튜브 사용이 뚜렷하다”며 “세대별 앱 사용 패턴은 이미 고착화된 상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