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스위스산 수입품에 39%의 고율 관세를 예고하자, 스위스 정부가 다급히 협상안 수정을 검토하고 나섰다. 기 파르믈랭 스위스 경제장관은 3일(현지시간) RTS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4일 연방 내각 특별회의를 소집해 대응책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X
스위스 경제장관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그는 “미국 대통령이 왜 이런 결정을 내렸는지를 이해해야 한다”며 “일단 배경이 명확해지면 대응 방향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시간이 촉박하지만 미국 측에 선의를 보여야 한다”며 기존 협상안 수정 가능성을 내비쳤다.

수정안에는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구매 약속과 스위스 기업의 대미 투자 확대 등이 포함될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스위스산 시계, 제약품, 기계류 등 주요 품목에 대해 39%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4월 처음 발표된 31%에서 8%포인트가 오른 수치로, 스위스 정부와 업계는 큰 충격에 빠졌다. 특히 스위스산 제품의 최대 수출국이 미국인 만큼 경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스위스 증시는 관세 발표 다음 날인 8월 1일 국경일로 휴장한 상태였으며, 4일 개장 시 시장 충격이 현실화될 가능성도 크다.

일부 외신은 이번 고율 관세 조치가 스위스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통화에서 스위스가 상품수지 불균형 해소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자, 트럼프 대통령이 '격노'한 데서 비롯됐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파르믈랭 장관은 해당 통화가 성공적이지 않았다고는 인정했으나, “언쟁은 없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처음부터 완전히 다른 시각을 갖고 있었다”고 해명했다.

이번 관세 조치는 미국과 스위스 간 통상 관계뿐만 아니라, 유럽 전반의 대미 수출 전략에도 적잖은 파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주요 수출국들에 대해 ‘상호주의’라는 명분 아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재협상 압박을 이어가고 있다.

스위스 정부가 긴급 대응에 나선 가운데, 미국 측의 태도 변화 여부와 향후 협상 결과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