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인 강선우 전 의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를 국회에 재송부 요청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은 여전히 강 후보자에 대한 방어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X
질문 받는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위원의 질문을 받고 있다. 2025.7.14 utzza@yna.co.kr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원내수석부대표는 23일 “여가위원장이 국민의힘 소속이라 국회 의결은 쉽지 않지만 재송부 요청은 이미 이뤄졌고, 이제는 국회의 몫”이라고 밝혔다. 강 후보자에 대한 임명이 가능해지는 시점은 재송부 요청 기한인 오는 24일 이후로, 대통령이 국회의 동의 없이도 임명을 강행할 수 있다.

민주당 한 여가위 소속 의원은 “당내 의견이 엇갈리는 만큼 인사권자가 판단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며 재송부 요청이 불가피한 절차임을 강조했다.

한민수 의원은 이날 방송 인터뷰에서 “대통령이 고심 끝에 임명 의지를 굳힌 것으로 보인다”며 “여가부 장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가능성에 무게를 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후보자가 청문회에서 사과한 바 있지만, 필요하다면 더 진솔한 사과도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당 일각에서는 임명을 밀어붙이는 기류에 대해 자칫 당이 국민 정서와 괴리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과거 보좌진에 대한 ‘갑질’ 논란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여론 역풍 가능성도 제기된다.

국민의힘 출신으로 민주당과 협치 노선을 걸어온 김상욱 의원은 “이번 주에 또 다른 의혹 폭로가 예고돼 우려스럽다”며 “국민 수용성 면에서 과락 점수를 받은 상태”라고 평가했다. 그는 “국민이 납득하지 못하면 국무위원 자격에도 문제가 생긴다”며 “강 후보자가 직접 나서서 의혹을 해명하고, 진심으로 국민께 고개 숙이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후보자 문제로 인해 당이 내부적으로도 분열되고 있는 느낌”이라며 “아무리 청렴성과 능력이 검증되더라도 절대다수 국민이 반대한다면 임명을 재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아직 공식적인 입장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으나, 향후 여론 흐름과 추가 폭로 여부에 따라 강 후보자 임명에 대한 당내 논의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재명 대통령이 24일 이후 어떤 결단을 내릴지 주목되는 가운데, 강 후보자가 추가 해명과 사과를 통해 여론을 얼마나 돌려세울 수 있을지가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