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옹호’ 발언으로 논란이 된 강준욱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이 22일 자진 사퇴했다. 임명 발표 이틀 만의 전격적인 결단이다.

X
사퇴한 강준욱 국민통합비서관 [동국대 홈페이지. 재판매 및 DB 금지]

강준욱 비서관은 이날 오전 자진 사퇴 의사를 표명했고, 이재명 대통령은 이를 즉시 수용했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강 비서관은 국민 통합이라는 국정 기조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여론을 고려해 진심 어린 사과의 뜻을 담아 자진 사퇴했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은 강 비서관 임명을 통해 정치적 포용과 국민 통합을 실현하려 했지만, 강 비서관이 과거 저서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옹호하고 이를 비판하는 여론을 ‘선동’으로 규정한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확산됐다.

특히 강 비서관은 지난 3월 출간한 책 ‘야만의 민주주의’에서 “계엄령은 불가피한 조치”라는 식의 주장을 폈고, 이는 “국민주권과 헌정 질서를 부정하는 발언”이라는 거센 비판을 받았다. 이어 5·18 민주화운동을 ‘폭도’라 지칭한 과거 SNS 게시물과 일제 강제징용 피해 사실을 부정하는 듯한 발언까지 잇달아 드러나면서 여론은 더욱 악화됐다.

사퇴 전 강 비서관은 “계엄으로 고통받은 국민께 상처를 드린 점 깊이 반성한다”며 사과문을 발표했지만, 여당 내부에서도 사퇴 요구가 쏟아졌다. 민주당 정청래·박찬대 의원이 공식적으로 사퇴를 촉구하며 “대통령의 통합 철학과 전면 배치된다”고 주장했고, 대통령실 내부에서도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는 기류가 형성됐다.

대통령실은 이번 인사 검증 실패에 대한 책임론도 피하지 못했다. 강유정 대변인은 “검증 시스템에서 보지 못한 예상외 문제가 드러났다”며 “인수위 없이 출범한 정부의 특수성 속에서도, 문제 발생 후 즉각적인 책임 조치로 국민 신뢰를 지키는 데 집중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강준욱 비서관은 동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출신으로, 학계 보수 인사로 분류된다. 이 대통령의 통합 의지를 반영해 기용된 인물이지만, 결과적으로 ‘통합의 상징’ 대신 ‘분열의 불씨’가 된 셈이다.

대통령실은 후임 국민통합비서관 자리에 대해 “이재명 정부의 정치철학과 통합 가치를 충분히 이해하는 인물을 보수진영 내에서 물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새 인사는 조속히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사태는 인사 검증 실패뿐 아니라 통합 인사의 기준 설정에 대한 대통령실 내부 시스템 점검 필요성을 드러냈다는 평가다. 정치권 일각에선 “보수 야권과의 통합을 시도하는 대통령의 행보가 오히려 내부 지지층을 흔들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결국 이재명 대통령이 내세운 ‘국민 통합’의 원칙은 유지됐지만, 그 실현 방식과 인물 선택에 대한 치밀한 검토가 필요함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