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정부가 유학생 비자를 포함해 시민권자와 영주권자에 대한 강경 단속에 나섰다. 최근 2주 만에 유학생 비자 1,200건이 취소됐으며, 한국인 조교수도 갑작스럽게 비자가 종료돼 강의 도중 귀국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시민권자 구금과 영주권자 추방 사례까지 이어지며 미국 내 이민 커뮤니티에 강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AI생성이미지=미국 트럼프 정부가 유학생 비자를 포함해 시민권자와 영주권자에 대한 강경 단속에 나섰다. 최근 2주 만에 유학생 비자 1,200건이 취소됐으며, 한국인 조교수도 갑작스럽게 비자가 종료돼 강의 도중 귀국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2025년 7월, 미국 유학생 사회는 전례 없는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최근 텍사스 주 휴스턴 대학의 한인 조교수가 비자 취소로 인해 예고 없이 강단을 떠나야 했다는 사실이 지역 언론을 통해 보도되며 파장이 커지고 있다. 이 교수는 불과 1년 전부터 대학에서 강의를 시작했으나, 갑작스러운 비자 취소로 인해 강제 귀국하게 됐으며, 이 사실은 수업을 듣던 학생들에게 문자로 통보됐다.

이 사례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미국 전역 180개 대학에서 F1·J1 등 유학생 비자 1,200건 이상이 최근 취소됐다는 통계가 공개되며, 이는 불과 2주 전 300건이었던 수치에서 4배나 폭증한 것이다. MIT, 하버드대, UCLA, 스탠퍼드 등 미국 명문대가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취소 사유는 중범죄가 아닌 단순 경범죄, 예를 들어 면허 만료 운전, 음주운전, 시위 참여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비자 취소뿐만이 아니다. 시민권을 가진 이민자도 당국에 의해 체포되어 구금된 사례가 발생했다. 조지아주에서 태어난 한 시민권자는 영어가 서툴다는 이유로 ICE(이민세관단속국)에 의해 체포됐고, 30시간 후에야 신분이 확인돼 석방됐다. 이 사건은 미국 언론에서 크게 보도되며 "시민권도 안심할 수 없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영주권자에 대한 단속도 강화됐다. 특히 한인 유학생의 경우, 친팔레스타인 시위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영주권이 박탈되고 추방 위기에 놓였다. 현재는 법원 소송을 통해 일시적으로 추방이 정지된 상태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유세 당시 공약했던 '불법 체류자 연간 100만 명 추방' 계획과 맞물려 실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무부, 국토안보부, ICE, 국세청 등은 공동으로 이민자 대상 단속을 전개하고 있으며, 학생 비자도 그 대상에 포함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트럼프 정부는 재량에 따라 음주운전이나 경범죄 기록이 있는 경우 언제든지 비자를 취소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미국 이민 사회와 한인 커뮤니티는 이번 사태를 두고 강한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시민권, 영주권조차 안심할 수 없다는 인식이 퍼지며, 법적 대응과 이민 절차 전반에 대한 재검토가 불가피해진 상황이다. 트럼프 정부의 이민정책은 대선 시즌을 맞아 더욱 강경한 기조를 보일 가능성이 높으며, 향후 유학생 및 이민자 정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