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플린 전 백악관 안보보좌관은 중국에서 권력 교체가 분명히 진행 중이라며 시진핑 체제의 붕괴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장유샤, 딩쉐샹, 천지닝 3인을 중심으로 한 차기 권력 구도를 암시했고, 일부 분석가들은 실권은 이미 시진핑에게서 이탈했다고 평가한다. 현재 중국 내부에서는 시진핑 처리 방향을 두고도 엇갈린 의견이 존재하며, 권력 교체의 방향성은 여전히 미확정 상태다.
AI생성 이미지=마이클 플린 전 백악관 안보보좌관은 중국에서 권력 교체가 분명히 진행 중이라며 시진핑 체제의 붕괴 가능성을 언급했다.
중국 공산당 내부에서 심상치 않은 권력 교체 조짐이 서방 정보당국과 관측통들을 통해 구체화되고 있다. 마이클 플린 전 미국 국가안보보좌관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엑스(X) 계정을 통해 “중국에서 분명한 권력 교체가 일어나고 있다”고 경고하며, 중국 내 민심과 국가안보부 내부조차 최고지도부에 대한 신뢰를 잃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포함한 미국 주요 보수 정치인들에게 이 내용을 전파하면서, 단순한 우려를 넘어선 실제 상황 변화가 감지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플린이 첨부한 사진에는 중국 중앙군사위원회 제1부주석 장유샤, 국무원 부총리 딩쉐샹, 상하이시 당서기 천지닝의 모습이 담겨 있어, 향후 중국을 이끌 차세대 지도자로 이들이 부상했음을 암시했다. 특히 장유샤가 군권을 장악하고, 딩쉐샹이 당권을, 천지닝이 행정권을 맡는 구조로 권력이 분산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NTD 시사 분석가 리무양은 이를 “신 3인 체제”로 명명하며, 시진핑 권력 붕괴의 실제 주체가 이들이라고 분석했다.
천지닝은 칭화대 출신으로, 환경부 및 베이징시에서 주요 보직을 거치며 '칭화대파'와 상하이방 모두와 긴밀한 관계를 구축한 인물로, 리더십과 정무 감각에서 인정받고 있다. 딩쉐샹 역시 상하이에서 정치 커리어를 시작하며 시진핑과 밀접한 연을 맺었고, 동시에 장쩌민 일가와의 협력으로 균형 감각을 키운 것으로 평가된다. 장유샤는 군부 내 핵심 실세로 꼽히며, 이번 권력 재편의 실질적 주도자라는 관측도 있다.
한편 왕양과 후춘화 등 과거 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 출신 인물들이 재부상하며 또 다른 삼두 체제 구성이 가능하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공통된 진단은 시진핑이 이미 실질적인 권한을 상당 부분 상실했다는 점이다. 특히 시진핑은 지난해 4월부터 내부 반발에 직면해 반격을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원자바오와 후진타오 등 원로 그룹이 실질적 권력을 장악했다는 증언이 잇따르고 있다.
권력 내부의 분열도 심각하다. 장유샤와 원자바오는 시진핑에 대한 철저한 제거를 주장하는 반면, 후진타오는 체제 안정을 우선시하며 점진적 퇴진을 유도하는 중이다. 시진핑 체면을 살려주는 명예로운 퇴장을 추진하자는 입장과, 철저한 청산을 통해 완전한 권력 세대 교체를 이루자는 입장이 맞서고 있다.
중국 당국은 관련 정보에 대해 철저히 보도 통제를 유지하고 있으나, 내부 소식통과 해외 전문가들은 일제히 "이번 권력 변동은 단순한 세대교체가 아니라 중공체제 전체의 동요로 이어질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미국을 포함한 서방국가들은 이러한 변화를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며, 향후 중국의 대외 정책 및 군사 전략, 경제 노선 변화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결국 이번 사태는 시진핑의 장기 독재체제가 내부 균열에 직면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후속 권력 이양 과정에서 중국 내외의 정치·경제적 충격파가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실질적인 권력의 주체가 누구로 확정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확실한 점은 중국은 지금 권력의 지각변동 한가운데 서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