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드론 메가딜'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는 미제 무기를 대량으로 구매하고, 미국은 전장에서 검증된 우크라이나 드론을 도입하는 방안이다.

X
젤렌스키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우크라이나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젤렌스키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포스트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며, "우리는 미국과 상호 이익이 되는 드론 거래를 추진 중"이라며 "미국은 러시아의 방어망을 돌파한 우리의 최신 드론 기술을 원하고, 우리는 미국산 무기 구매 의사가 있다"고 말했다.

젤렌스키는 특히 트럼프 대통령과의 최근 회담에서 이 같은 군사기술 협력의 방향성을 집중 논의했으며, 미국뿐 아니라 덴마크, 노르웨이, 독일 등 유럽 주요국과도 드론 공동개발 및 수출을 포함한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의 드론 기술은 전장에서 그 실전성을 입증해왔다. 대표적인 예로, 지난달 우크라이나는 ‘거미줄 작전’을 통해 러시아 공군기지를 타격하고 41대의 중폭격기를 파괴했다. 해당 드론은 국경에서 최대 1,300km 떨어진 목표물까지 도달 가능하며, 전방위 정찰 및 자폭 공격까지 가능한 고정밀 무기체계로 평가받고 있다.

반면, 미국의 드론 기술은 최근까지도 러시아와 중국에 비해 실전 경험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져왔다. 이에 전문가들은 이번 협력이 성사된다면 미국 드론 전략에 실질적인 전환점을 만들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젤렌스키는 “우리는 지난 3년간 러시아와의 현대전에서 축적한 기술과 전술 데이터를 모두 공유할 준비가 되어 있다”며 “미국이 우리의 기술을 도입하면, 안보는 물론 산업 경쟁력에서도 큰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내 방산 관계자들도 우크라이나 드론 도입에 대해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직접적으로 언급을 삼갔지만 해당 협의가 전략적 파트너십 차원에서 지속되고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이번 거래는 트럼프 행정부의 무기 수출 전략에도 부합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국 방산업체 보호와 글로벌 안보 리더십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와의 드론 협력이 그 대표 사례가 될 가능성이 있다.

전문가들은 이 거래가 성사될 경우 우크라이나는 재정적 지원을 넘어 군사산업 수출국으로의 위상을 다지게 되고, 미국은 중장기적으로 드론 전력을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