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룰라 대통령이 미국의 50% 고율 관세 방침에 정면으로 맞대응을 시사하며, 필요시 동일 수준의 보복 관세를 예고했다. 룰라 정부는 WTO 제소와 외교적 연대를 추진하고 있으며, 미국 내 물가 상승이라는 부메랑 효과 가능성도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브라질산 커피·오렌지 공급 차질 등 글로벌 물가에도 영향이 우려된다.
X
브라질 룰라 대통령(왼쪽)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브라질이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부과 방침에 대해 강력 대응을 예고하며 정면 충돌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브라질 룰라 대통령은 현지 언론 인터뷰를 통해 “미국이 50% 관세를 매기면, 우리도 같은 방식으로 50%를 부과할 것”이라고 단언하며, 협상이 결렬될 경우 경제호혜주의법에 따른 보복 관세를 단행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와 함께 세계무역기구(WTO) 제소와 우방국과의 연대 구축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룰라 대통령은 이날 브라질 대통령궁에서 긴급 국무회의를 열고, 미국의 조치에 따른 피해 최소화 방안을 논의했다. 페르난두 아다지 재무장관은 “미국의 관세 부과는 경제적 합리성이 없다”며, 양국 교역의 실질적 적자는 오히려 브라질 측에 집중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브라질은 지난 15년간 미국과의 무역에서 4천억 헤알(약 99조원)의 적자를 기록했으며, 2009년부터 올해 6월까지 누적 적자는 902억 달러(약 124조원)에 이른다.
이번 관세 갈등은 미국 소비자들에게도 직격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브라질은 세계 최대 커피 생산국이자 오렌지의 주요 수출국으로, 미국 내 커피 3분의 1, 오렌지주스 절반 가까이가 브라질산이다.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의 관세가 현실화되면 브라질의 커피 수출은 유럽과 아시아로 방향을 전환하게 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미국 내 커피와 오렌지 가격 급등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브라질 커피 수출업체 Cecafe는 지난해 60㎏ 포대 기준으로 814만 포대를 미국에 수출했으며 이는 전년도보다 30% 증가한 수치였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의 소셜미디어 계정에는 브라질 국민들의 포르투갈어 항의 댓글이 대거 달리는 이른바 ‘댓글 테러’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브라질은 주권국가다”와 같은 문구가 다수 올라왔고, 일시적으로 일부 댓글 기능이 제한되기도 했다. 이는 브라질 시민들의 강한 반감을 여실히 보여주는 장면으로 해석된다.
결국 이번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는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 글로벌 공급망과 식료품 가격, 그리고 외교 관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대 사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룰라 대통령의 단호한 대응은 자국 경제와 주권을 지키기 위한 포석으로 보이지만, 동시에 미-브라질 관계의 향방과 세계 무역 질서에 어떤 파장을 일으킬지 귀추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카드가 국내 정치용 강공이냐, 실효적 무역 전략이냐를 놓고도 논란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