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지표조사(NBS)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평가가 62%를 기록하며 2주 전보다 9%포인트 상승했다. 국정 신뢰도 역시 63%로 높게 나타났으며, 민주당 지지도는 45%로 국민의힘(20%)을 두 배 이상 앞섰다. 추가경정예산 필요성에 대해선 국민 10명 중 6명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지급 방식으로는 소득수준별 차등 지급이 다수 의견을 차지했다.

X
국회 시정연설 마친 이재명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6일 추가경정예산 시정연설을 마친 뒤 국회를 떠나고 있다. 2025.6.26 xyz@yna.co.kr

2025년 6월 넷째 주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긍정평가가 62%로 집계되며, 전 조사 대비 9%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부정 평가는 21%로 2%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국정운영 신뢰도에서도 ‘신뢰한다’는 응답이 63%에 달해, 지난 윤석열 전 대통령 취임 초의 수치를 웃돌았다.

이번 조사는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공동 수행으로, 6월 23일부터 25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천 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3.1%포인트(신뢰수준 95%)이며, 응답률은 18.3%였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이 45%로 고정세를 유지했으며, 국민의힘은 3%포인트 하락한 20%로 집계돼 양당 간 격차가 25%포인트에 이르렀다. 그 외 개혁신당은 5%, 조국혁신당은 4%, 진보당은 1%를 기록했다. 무당층 비중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국정신뢰도 문항에서는 무당층 내 ‘신뢰한다’(40%)와 ‘신뢰하지 않는다’(41%)가 팽팽하게 갈렸다.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인선에 대해서는 '잘했다'는 응답이 45%로 나타났고, '잘못했다'는 응답은 31%, '모름/무응답'은 23%였다. 이 같은 응답 분포는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리더십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가 인선 평가에도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민주당과 조국혁신당 지지층에서는 70% 이상이 긍정평가를 내렸고,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70% 이상이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중도층은 긍정 45%, 부정 29%로 나타나 비교적 온건한 반응을 보였다.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의 편성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61%가 '필요한 조치'라고 답해, 대통령의 정책방향에 대한 지지 기반이 넓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28%에 머물렀다. 특히 추경의 핵심 항목인 민생회복지원금에 대한 지급방식으로는 ‘소득수준별 차등 지급’이 48%로 가장 높았고, ‘취약계층만 선별 지급’ 27%, ‘모든 국민 동일 지급’은 21%로 뒤를 이었다. 정당별로는 민주당 지지층이 64% 비율로 차등 지급을 선호했고, 국민의힘 지지층은 46%가 선별 지원을 선호한다고 답했다.

한편 코로나19로 인해 피해를 입은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에 대한 채무 탕감 문제에 대해선 국민들의 반응이 비교적 비판적이었다. ‘불가피하게 늘어난 채무를 국가가 책임지는 데 찬성’한다는 응답은 37%였으나, ‘도덕적 해이와 형평성 문제 때문에 반대’한다는 응답이 59%로 우세했다.

북한 관련 인식에서는 ‘화해와 협력의 대상’이라는 시각이 56%로 ‘적대와 경계의 대상’이라는 응답(38%)보다 높았다. 이는 최근 남북관계에 대한 국민적 기대감이 일정 부분 살아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이재명 대통령은 집권 초반 높은 지지율과 정책 신뢰를 기반으로 정국 주도권을 확고히 하고 있으며, 추경 및 인사정책, 대북관계에 있어 국민 여론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지가 향후 관전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전반적으로 긍정적 흐름이지만, 일부 정책에서 여론이 엇갈리는 만큼 조율과 설득 과정이 필요하다는 평가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