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과 함께 부활한 보호무역정책이 미국 경제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 연방정부는 2025년 1월부터 6월까지 관세를 통해 총 1,040억 달러의 세수를 올렸다.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무려 115% 증가한 수치다.

관세 수입은 월별로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1월 130억 달러에서 시작된 누적 관세 수입은 6월 말 1,040억 달러를 돌파했고, 선형 회귀 분석에 따르면 2025년 12월까지 누적 수입은 약 2,086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해방의 날(Liberation Day)’을 선포하며 중국, 멕시코, 캐나다 등 주요 교역국을 상대로 고율 관세를 부과했다. 적용된 평균 관세율은 27%에 달했으며, 일부 품목에는 145%까지 매겨졌다. 이에 따라 수입품 가격이 급등했고, 관세 수입도 가파르게 증가했다.

2025년 관세 수입 누적 추이 (단위: 억 달러)


관세 수입 급증에도 불구하고, 그 경제적 파급력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보수 매체인 Fox News는 “관세 재앙을 예고한 좌파의 예측은 완전히 빗나갔다”며 “미국 중소기업 신뢰지수와 소비자 심리는 여전히 견조하다”고 보도했다. 또 고용지표 역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어 관세정책이 단기적으로 경제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Newsmax는 “관세는 곧 물가”라며, 수입 물가 상승이 소비자 부담으로 전가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버드대 경제연구소는 “기업이 관세 부담의 60% 이상을 소비자 가격에 반영하고 있다”고 평가했고, 마켓워치는 주요 소비재 가격이 평균 3% 이상 상승했다고 전했다.

또한 설비투자 위축도 관세정책의 부작용으로 지목된다. Fox Business 기반 리포트에 따르면, 2분기 미국 내 기업들의 투자 증가율이 급격히 둔화됐다. 이는 고관세 적용 이전의 선구매 효과가 끝나고, 관세 불확실성이 자산투자 회피로 이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국제무역법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가 1977년 경제긴급권법(IEEPA)을 위반했다며 위헌 판결을 내렸다. 현재 항소가 진행 중이나, 이와 별개로 중국, 캐나다, 멕시코는 보복 관세를 즉각 적용했고, 유럽연합(EU)도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이 글로벌 공급망을 교란시키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생산성 감소와 소비 위축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은 단기적으로는 연방정부의 세수를 대폭 늘리고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하는 데 성공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물가 상승과 기업 불확실성 확대, 글로벌 무역 질서 재편이라는 리스크를 동반하고 있다.

경제 지표가 안정세를 보이는 지금이 정책 성과를 평가할 마지막 기회가 될 수 있으며, 향후 3개월간의 소비 동향과 투자 흐름이 관세정책의 실질 성과를 가늠할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