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對中) 고율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 지표에 본격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6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가 임박한 가운데,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對中) 고율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 지표에 본격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15일(현지시간) 발표될 6월 CPI는 에너지와 소비재 가격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상승폭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중국 수입품 관세(최대 70%)가 실제로 소비재 물가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면서, 이번 지표는 ‘관세 인플레이션(tariff-driven inflation)’의 초기 징후로 해석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CPI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식품, 에너지, 가전, 의류 등 미국 소비자 생활과 직결된 영역이다. 관세 인상은 수입 원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이는 최종 소비자가격에 전가되는 구조다. 경제분석기관들은 6월 CPI 상승률이 전년 대비 3.3% 이상일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이번 CPI 발표가 연방준비제도(Fed)의 향후 금리정책 경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본다. 만약 인플레이션 압력이 재차 상승하는 흐름이 명확해진다면, 당초 시장이 기대하던 9월 금리 인하 가능성은 낮아질 수 있다. 특히 소비자 체감 물가가 높아질 경우, 대선 국면에서 정책 부담도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은 단기적 물가 상승 요인일 뿐만 아니라, 공급망 재편과 기업 마진 압박 등 중장기적으로도 가격 구조에 충격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향후 CPI 흐름뿐 아니라 생산자물가지수(PPI) 등 다른 물가지표도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 미국 시장은 CPI 발표 이후 나올 연준 인사들의 발언과 국채 금리 반응, 그리고 소비자 신뢰지수 지표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며 금리 방향성을 예측할 것으로 보인다. 관세가 물가를 자극하는 흐름이 현실화될 경우, 단순한 일시적 상승이 아니라 ‘새로운 인플레이션 사이클’의 시작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