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년 전 암살 시도를 겪은 이후 내면의 변화를 겪었다는 평가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폭죽 소리에 반응하며 던진 농담은 당시 사건의 여운을 여실히 보여준다.

X
지난해 암살시도 사건 당시 트럼프 대통령 모습(가운데)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이달 3일(현지시간) 아이오와주 독립 250주년 행사에서 연설 중이던 트럼프 대통령은 어디선가 들려온 폭죽 소리에 “여러분도 이 소리 들었나요?”라고 물었다. 이어 “걱정하지 마세요. 불꽃놀이 소리일 뿐입니다. 그러길 바라요”라고 말하며 청중을 안심시켰지만, “저 소리는 나도 맘에 들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는 지난해 7월 13일 펜실베이니아주 버틀러에서 벌어진 총격 사건과 관련이 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유세 도중 총탄을 귀에 스치며 생명을 건졌다. 하지만 현장에 있던 한 명은 사망하고 두 명이 중상을 입었다.

A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 사건을 계기로 마음가짐에 변화를 겪었다고 보도했다. 공화당의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은 “당시 사건은 그의 마음 한켠에 항상 남아 있는 듯하다”며 “더 감사할 줄 아는 사람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생일을 맞은 자신에게 메시지를 보냈다며, 주변 사람들에게 더 신경 쓰는 모습을 보인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오랜 측근 로저 스톤은 “암살 시도 이후 트럼프는 더욱 평온하고 결의에 찬 모습이었다”며 “신의 뜻에 따라 살아남았다고 믿고, 지금도 신의 보호를 받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백악관 비서실장 수지 와일스도 트럼프 대통령이 흔히 말하는 ‘God bless America’라는 표현을 더욱 개인적이고 깊이 있게 받아들이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그날의 사건은 끔찍했지만, 국민은 트럼프가 얼마나 투지 있는 사람인지 확인하게 됐다”며 “그의 인격이 드러난 계기였고, 결과적으로 긍정적이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강한 리더십을 유지하고 있지만, 지난 1년간의 경험을 통해 더 단단하고 신중한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측근들의 전언은 단순한 생존 그 이상의 상징으로 트럼프의 리더십을 강조한다. 오는 대선을 앞두고, 이 변화가 유권자들에게 어떤 울림을 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