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사용자도 드디어 티머니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22일부터 애플의 ‘애플페이’와 ‘애플지갑’ 앱이 국내 교통카드 브랜드인 티머니와 연동되며, 아이폰이나 애플워치로 버스·지하철을 탈 수 있게 됐다.

X
[애플지갑 앱 캡쳐]

애플은 이날부터 아이폰 애플지갑 앱에 티머니 선불 교통카드를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적용했다. 아이폰 ‘익스프레스 모드(Express Mode)’를 활성화하면 잠금 해제 없이 단말기에 태그만 해도 결제가 이뤄진다. 단말기에 가까이 대기하는 것만으로도 지하철이나 버스 탑승이 가능하다.

이번 연동은 선불 방식의 티머니에 한정되며, 후불 교통카드나 정부의 대중교통 지원제도인 ‘기후동행카드’, ‘K-패스’ 등은 사용할 수 없다. 티머니 충전은 애플지갑 내 현대카드를 통해 직접하거나, 모바일티머니 앱을 통해 타 결제수단으로도 가능하다.

특히 애플페이 최초로 적용된 ‘자동충전’ 기능도 눈에 띈다. 사용자가 설정한 잔액 이하로 떨어질 경우 애플페이를 통해 자동으로 충전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기기가 전원 절약 모드 상태일 때도 교통카드 기능은 정상 작동된다.

해당 기능은 iOS 17.2 이상이 설치된 아이폰 XS, XR 이후 모델 및 워치OS 10.2 이상이 설치된 애플워치 시리즈6, SE 2세대 이후 모델에서 사용할 수 있다. 개인정보 보호에도 주안점을 뒀다. 티머니 결제 내역이나 이용 기록은 저장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추적할 수도 없다.

제니퍼 베일리 애플 부사장은 “대한민국은 세계 최고 수준의 대중교통 인프라를 갖춘 나라”라며 “이번 기능을 통해 전국 어디서든 쉽고 안전하게 교통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2023년 3월 국내 출시된 애플페이는 한동안 일부 프랜차이즈와 편의점 등 제한된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해 국내 확산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이번 티머니 연동으로 사용 범위가 대중교통 영역까지 넓어지며 본격적인 확산의 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